-
- 조성제의 무속이야기 (35)무교에서 뱀을 금기시하는 이유
- 무교(巫敎)에서 금기시하는 동물이 개와 뱀이다. 개고기나 뱀을 먹었으면 칠성굿을 할 때 반드시 혼이 난다. 그러면 왜 개와 뱀을 금기시할까? 『한단고기』에...
- 2025-11-20
-
- 자랑스러운 전민주 피아니스트
- 우리 민족은 예능의 기술이 탁월한 민족임에 틀림이 없다. 두뇌와 손재주는 세계가 인정하는 코리아다.IQ가 세계에서 가장 높으며, 손재주는 세계 기능올림픽...
- 2025-11-19
-
- [이동식 역사 칼럼] (9)간관의 폐해
- 역사서를 펴면 곳곳에 군주가 신하들의 옳은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 목소리를 대변하는 사람들이 간관(諫官)이다.고대 중국의 하(夏), 은(殷), 주(...
- 2025-11-15
-
- [이경국 칼럼] 코스피 5000포인트가 경제 목표
- 자다가도 벌떡 일어날 일이다. 어떻게 종합주가지수가 경제의 목표가 된다는 말인가?더불어민주당 '코스피 5000 특별위원회'가 발족했다. 코피를 쏟을 천...
- 2025-11-14
-
- 조성제의 무속 이야기 (34)삼칠(3·7)일 기도의 시작
- 보통 기도는 3일을 최소 단위로 홀수 일로 거행한다. 즉 5일 7일 21일 등이다. 그러면 3일을 기준으로 하는 기도는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어떤 의미를 지니고 ...
- 2025-11-13
-
- [황광구의 경제 칼럼] 코스피 지수 5,000을 위한 움직임, 과속 아닌가?
- 최근 주식시장이 급격히 달아오르고 있다. 이재명 정부 출범과 동시에 코스피 지수는 2,600선에서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기 시작해 그저께는 역대 최고치인 4,200...
- 2025-11-11
-
- 카사노바에 대한 일견(一見)
- '카사노바'라는 이름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색(色)을 좋아하는 자로 인식돼 있다.필자는 호기심이 발동하여 일찍이 책을 접하면서 카사노바에 ...
- 2025-11-07
-
- 조성제의 무속 이야기 (33)공수(貢壽)와 공수(空授)
- 굿을 할 때는 반드시 공수(貢壽)를 준다. 언제부터 공수를 주게 됐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굿을 하는 목적이 바로 신의 말씀이라는 공수를 받기 위한 것...
- 2025-11-06
-
- [이동식 역사칼럼] (8)국민은 물이랍니다
- 옛날 임금이 정치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놓고 가장 많이 인용되는 구절이 "임금은 배, 백성은 물"이라는 표현이다.《순자(荀子)》에 나오는 말이다. "군주...
- 2025-11-05
-
- 조성제의 무속이야기 (32)굿의 성패를 좌우하는 '조상거리'
- 굿은 12거리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 통설이다. 대부분 굿거리는 천지신명을 모셔 의뢰자의 소원을 기원하는 의미가 있다. 즉 무당들이 모시는 신들을 즐겁게 ...
- 2025-10-31
-
- [이경국 칼럼] 기생의 영정(影幀)사진
- 기생(妓生)에 대한 바른 이해가 부족하다. 특히 관기(官妓)에 대하여 오해의 소지가 많다고 본다. 기생도 정조(貞操)를 유지하고 절개를 지킨다. 몸을 함부로 ...
- 2025-10-31
-
- [이경국 칼럼] 장맛비 같은 가을비
- 가을인데도 마치 장맛비처럼 내린다. 이름하여 가을장마다. 올해 여름은 숨이 막히는 열대야로 속을 썩이 더니 가을인데 날씨의 변덕이 극성스럽기 짝이 없다...
- 2025-10-26
-
- 조성제의 무속이야기 (31)신당이 가지는 의미
- 무교인(무당)이 내림굿을 한 후 제일 먼저 하는 일이 바로 신당(神堂.신령을 모셔 놓은 집)을 모시는 일이다.그러면 신당은 왜 모시는 것일까? 점을 보고 돈을 ...
- 2025-10-24
-
- [이동식 역사 칼럼] (7)때늦은 후회
- 5천 년 중국사를 통틀어 가장 뛰어난 제왕으로 평가되는 당 태종의 뒤에는 잘못을 진언하는 명재상 위징이 있었기에 찬연한 문화를 꽃피운 황금기가 열렸다. ...
- 2025-10-21
-
- [이경국 칼럼] 지옥(地獄)은 어디 있든 두렵기 마련이다.
- 인구(人口)에 많이 회자(膾炙) 되고 있는 말이 '지옥(地獄)'이다. 단어 풀이로는 단순히 땅속에 있는 옥(獄)을 의미한다.감옥이 지상에 있어도 갑갑하여 ...
- 2025-10-19
-
- [이경국 칼럼] 안산(鞍山)의 황톳길을 걷다
- 집에서 가까운 곳에 맨발로 걷는 황톳길이 생겨서 본격적으로 걷기 운동을 하기로 작정을 했다.소싯적에는 벽을 바를 때 접착력이 좋으라고 황토에다 볏짚을 ...
- 2025-10-12
-
- [김주호 칼럼] 훈민정음 창제와 신미대사
- 현재 훈민정음은 국보 제70호이고, 199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어 있는 보배로운 글자이다. 따라서 훈민정음에 대한 각론 연구도 필요한 때다. 훈민...
- 2025-10-09
-
- [이동식 역사 칼럼] (6)먹줄이 발라야 정치도
- 먹줄이 발라야 정치도 바르게 된다옛날 사람들의 정치학 교과서에는 '목종승정(木從繩正)'이란 말이 있다. 원래의 뜻은 “나무(木)는 승(繩)에 따라가...
- 2025-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