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환율 우대·수수료 면제로 수출 중소기업 비용 확 줄인다
우리은행(은행장 정진완)은 수출입 중소기업 고객의 외환거래 편의를 높이기 위해 ‘우리 중소우대 외화예금’을 출시했다. 지난달 출시한 ‘우리 중소우대 외화예금’은 수출입 중소기업의 환전·송금·수출입 관련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환율 우대 및 외환거래 수수료 면제를 자동 적용했다. 이 상품에 가입하는 중소기업 및 개인사업자 고객은 해외 당·타발송금 수수료 월 1회 면제, 수출신용장 통지수수료 및 수입화물선취보증서 발급 수수료를 가입 기간 내 전액 면제 등 혜택을 제공받는다. 또한 12개 통화(USD, EUR, JPY, GBP, CHF,
SK AI 서밋, 3만5000명 호응 속에 ‘글로벌 AI 플랫폼’ 발돋움
SK그룹의 국내 대표 인공지능(AI) 행사 ‘SK AI Summit(서밋) 2025’가 4일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지난해 규모 면에서 ‘대한민국 대표 AI 행사’로 자리매김한 서밋은 올해 더 다양한 국적의 기업과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하는 ‘글로벌 AI 플랫폼’으로 진화했다. 이번 서밋은 ‘AI Now & Next’를 주제로 AI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조망했다. 3일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벤 만(Ben Mann) 앤트로픽(Anthropic) 공동 창업자, 팀 코스타(Tim Costa) 엔비디아(NVIDIA)
보존처리 후 ‘용고’의 북면
청와대재단은 청와대 야외 전시작품 ‘용고(龍鼓)’의 복원 작업을 마치고, 춘추관 2층 고각에서 다시 관람객에게 선보인다고 밝혔다. 이번 복원은 오랜 시간 자연환경에 노출돼 손상된 작품에 생기를 불어넣는 작업으로, 전통 북 제작의 대가이자 대전광역시 무형유산 김관식 악기장의 손길을 거쳐 정성스럽게 이뤄졌다.
청와대 춘추관 상징 ‘용고’, 30여 년 만에 새 숨결
‘용고’는 1990년대 청와대 춘추관 개관에 맞춰 제작된 대형 북으로, 춘추관을 상징하는 예술 작품이다. 조선시대 백성이 억울함을 호소하기 위해 궁궐 앞 신문고를 두드렸던 것처럼 ‘용고’에는 국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겠다는 상징적 의미가 담겨 있다. 특히 언론 브리핑이 이뤄지던 춘추관의 기능에 맞춰 ‘정론직필(正論直筆)’의 철학도 함께 반영됐다. 당시 청와대는 이러한 상징성을 구현하기 위해 대전광역시 무형유산 제12호 김관식 악기장에게 제작을 의뢰했고, 김관식 악기장에 의해 전통성과 조형미를 두루 갖춘 작품이 완성됐다.
하지만 30여 년 동안 야외에 전시되며 북면의 가죽이 닳고 안료는 색이 바래는 등 원래의 아름다움을 잃어갔다. 이에 청와대재단은 원형 보존을 목표로 2024년 말 용고 수리 예산을 확보하고, 올해 초 원 제작자인 김관식 장인에게 보존처리를 의뢰해 복원에 착수했다. 복원은 수 차례 현장 조사와 협의를 거쳐 진행됐으며, 손상된 가죽을 새로 교체하고 색이 흐릿해진 부분은 원래 색상에 최대한 가깝게 복원했다. 외형뿐 아니라 제작 당시의 기법과 정신까지 살리는 데 중점을 뒀다.
청와대 정신을 품은 북, 복원 마치고 국민 앞에 서다
복원이 완료된 ‘용고’는 현재 청와대 춘추관 2층 고각에 상시 전시 중이며, 관람객은 직접 그 웅장한 자태를 감상할 수 있다. 복원 과정을 담은 영상도 향후 청와대 누리집(www.opencheongwadae.kr)을 통해 공개할 예정이다.
청와대재단은 용고는 단순한 전시물이 아니라 청와대의 역사와 정신을 담은 상징적 작품이라며, 앞으로도 청와대 내 문화자산의 체계적인 보존과 관리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청와대재단은 대한민국의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지닌 청와대를 보다 많은 국민과 세계인들이 경험할 수 있도록 운영·관리하는 기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