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환율 우대·수수료 면제로 수출 중소기업 비용 확 줄인다
우리은행(은행장 정진완)은 수출입 중소기업 고객의 외환거래 편의를 높이기 위해 ‘우리 중소우대 외화예금’을 출시했다. 지난달 출시한 ‘우리 중소우대 외화예금’은 수출입 중소기업의 환전·송금·수출입 관련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환율 우대 및 외환거래 수수료 면제를 자동 적용했다. 이 상품에 가입하는 중소기업 및 개인사업자 고객은 해외 당·타발송금 수수료 월 1회 면제, 수출신용장 통지수수료 및 수입화물선취보증서 발급 수수료를 가입 기간 내 전액 면제 등 혜택을 제공받는다. 또한 12개 통화(USD, EUR, JPY, GBP, CHF,
SK AI 서밋, 3만5000명 호응 속에 ‘글로벌 AI 플랫폼’ 발돋움
SK그룹의 국내 대표 인공지능(AI) 행사 ‘SK AI Summit(서밋) 2025’가 4일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지난해 규모 면에서 ‘대한민국 대표 AI 행사’로 자리매김한 서밋은 올해 더 다양한 국적의 기업과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하는 ‘글로벌 AI 플랫폼’으로 진화했다. 이번 서밋은 ‘AI Now & Next’를 주제로 AI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조망했다. 3일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벤 만(Ben Mann) 앤트로픽(Anthropic) 공동 창업자, 팀 코스타(Tim Costa) 엔비디아(NVIDIA)
2025년 상반기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액이 55억 달러(잠정)를 기록하며 역대 상반기 최대치를 경신했고, 전년 동기 대비 14.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5년 상반기(1~6월) 화장품 수출액이 전년 동기(48억 달러)보다 7억 달러 증가한 55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3일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5년 상반기(1~6월) 화장품 수출액이 전년 동기(48억 달러)보다 7억 달러 증가한 55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3일 밝혔다. 이는 역대 상반기 중 최고 수출액으로, K-뷰티의 세계 시장 경쟁력이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분기별로는 1분기 25.8억 달러, 2분기 29.3억 달러를 기록해 각각 전년 대비 12.7%, 16.8% 증가했다. 특히 2분기 수출액은 역대 최대치였던 2024년 4분기(28.2억 달러)보다도 3.9% 증가하며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여전히 최대 수출국으로 10.8억 달러(점유율 19.6%)를 기록했으나, 전년 대비 10.8% 감소하며 처음으로 비중이 20% 아래로 떨어졌다. 반면 미국은 10.2억 달러로 17.7% 증가하며 중국을 바짝 추격하고 있으며, 일본도 5.5억 달러로 15.7% 증가했다.
특히 폴란드는 2023년 23위에서 2025년 상반기 8위(1.5억 달러)로 도약하며 유럽 내 수출 성장세를 주도했다. 같은 기간 프랑스(0.7억 달러, +116.1%), 영국(1.0억 달러, +46.2%), 에스토니아(0.3억 달러, +88.6%) 등도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중동 지역에서는 아랍에미리트(1.2억 달러, +69.4%), 이스라엘(+324%), 쿠웨이트(+90.6%)가 수출 확대를 견인했으며, 남미에서는 멕시코(+138.3%), 브라질(+98.7%), 아시아 지역에서는 인도(+44.7%) 등이 성장을 이끌었다.
제품 유형별로는 기초화장품이 41.1억 달러로 전체의 약 75%를 차지하며 수출을 주도했다. 이어 색조화장품(7.5억 달러, +17.4%), 인체세정용품(2.7억 달러, +21.5%), 두발용 제품(2.2억 달러, +11.8%) 순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로션·에센스·크림 등이 1위를 차지했으며, 마스크팩(2.8억 달러, +33.4%)과 립스틱(0.7억 달러, +42.9%)도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튀르키예로의 립스틱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6,453% 증가하며 주목을 끌었다.
식약처는 이러한 K-뷰티의 수출 확대를 뒷받침하기 위해 규제 외교를 강화하고, 글로벌 진출을 위한 온라인 정보 플랫폼인 ‘화장품 글로벌 규제조화 지원센터’를 통해 최신 규제 정보와 수출 전략을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의 규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국내 안전성 평가제도 도입을 준비하고 있으며, 전문기관 설립 등 지원 체계도 함께 구축할 방침이다.
식약처는 “국산 화장품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앞으로도 세계 각국과 규제 협력을 확대하고, 우리 기업의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