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K-푸드 수출 5.7%↑…라면·김치·포도 ‘삼각 강세’로 중동·유럽 공략
  • 이창준 기자
  • 등록 2025-11-10 11:38:10
기사수정
  • 10월 기준 K-푸드+ 수출 112억4천만 달러…농식품·농산업 모두 증가
  • 라면·조제품·김치·포도 등 수출 견인…중동·유럽·북미 시장 호조
  • 농약·비료·종자 등 농산업 제품도 고른 성장세 보여

정부가 7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0월 말 기준 ‘K-푸드+’ 수출액은 전년 대비 5.7% 증가한 112억4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라면, 김치, 포도 등 농식품이 수출 성장을 이끌었으며, 농약·비료 등 농산업 제품도 고르게 증가세를 보였다.

 

K-FOOD 특화 매대를 운영 중인 편의점 모습

농림축산식품부는 7일 “10월 농식품 수출은 85억9천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0%, 농산업 수출은 26억4천만 달러로 7.8% 증가했다”고 밝혔다. 케이-푸드 플러스(K-Food+)는 신선·가공식품뿐 아니라 농약, 비료, 종자, 동물용의약품 등 농산업 제품을 포함하는 확장 개념으로, 올해 전반적인 수출 호조세가 확인됐다.

 

지역별로는 중동(GCC)이 20.4%, 유럽연합(EU+영국)이 14.8%, 북미가 13.9% 증가하며 전년 대비 뚜렷한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중동에서는 아이스크림(80.7%), 음료(80.3%), 소스류(33.9%)가, 중화권에서는 라면(62.9%), 조제품 기타(19.4%), 포도(122.7%)가 수출 증가를 견인했다.

 

7~10월 누적 기준으로 수출 증가 규모가 큰 주요 품목은 라면(21.7%), 조제품 기타(13.6%), 커피조제품(21.3%), 김치(6.4%), 포도(50.9%), 아이스크림(22.1%)이었다.

 

라면은 매운 볶음면의 글로벌 인기에 힘입어 중국, 일본, 미국, 독립국가연합(CIS) 등 주요 시장에서 판매가 늘었다. 조제품 기타 분야는 이너뷰티 제품 등 건강기능식품 수요 확산으로, 커피조제품은 스틱형·RTD(Ready to Drink) 제품 다양화와 프리미엄화 추세가 수출을 견인했다.

 

김치는 일본·캐나다·대만을 중심으로 발효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수출이 늘었고, 포도는 ‘대만 수출용 포도 사전등록제(ID)’ 정착으로 대만 시장 진출이 확대됐다. 아이스크림은 여름철 디저트 수요와 현지 유통망 확대로 미국·캐나다·유럽 등지에서 판매가 늘었다.

 

농산업 분야도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동물용의약품(24.9%), 농약(16.0%), 비료(10.5%), 종자(9.9%) 등 주요 품목 모두 수출이 증가했다. 유럽에서는 중국산 라이신 대체 수요로 동물용의약품 수출이 늘었고, 동남아에서는 비료 가격 상승과 한국산 제품 인지도 제고가 수출 확대를 이끌었다.

 

김정욱 농업혁신정책실장은 “품목별 시장 확대 노력과 현지 마케팅 강화 덕분에 케이-푸드+ 수출이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연말까지 수출기업 지원을 확대해 올해 140억 달러 수출 목표를 달성하겠다”고 말했다.

 

0
사이드 기본배너01-유니세프
사이드 기본배너02-국민신문고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