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애플데이, 사과로 마음을 잇다… 시민 참여형 행사 코엑스몰서 열려
10월 24일 한국사과연합회가 사과를 매개로 진심을 전하는 ‘애플데이’ 행사를 서울 스타필드 코엑스몰 라이브플라자에서 진행했다. ‘애플데이’는 매년 10월 24일 서로에게 사과하며 화해하는 날로, 올해는 사과를 통해 사랑과 감사를 나누는 참여형 행사로 운영됐다. 이번 행사는 ‘사과우체국’, ‘사과로드’, ‘사과나무 카드걸렸네’ 등 다양한 시민 참여 콘텐츠로 꾸려졌다. 방문객들은 ‘사과로드’에 사과 메시지를 붙이며 마음을 표현하고, ‘사과우체국’에서는 감성 엽서를 통해 미처 전하지 못한 사과의 말을 전했다. 엽서를 보낸 이들에게는 사
삼성전자 ‘삼성 노트북 무료점검 캠페인’ 실시
삼성전자가 23일부터 11월 22일까지 전국 117개 삼성스토어에서 삼성전자 노트북 사용 고객을 대상으로 ‘삼성 노트북 무료점검’을 실시한다. ※ PC 점검 서비스센터가 위치한 삼성스토어 117개점 이번 캠페인은 삼성전자 노트북 사용자들의 기기 점검과 지난 14일 보안 업데이트 등 ‘윈도 10(Windows 10)’ 운영체제 지원 종료에 따른 ‘윈도 11(Windows 11)’ 운영체제 업그레이드를 돕기 위해 진행된다. 기간 중 삼성스토어에 방문한 고객은 판매상담사와 PC 전문 엔지니어를 통해 사용 중인 노트북의 ‘윈도 11(Win
아디다스, 서울 성수동에 ‘CAFÉ 3 STRIPES SEOUL’ 오픈
글로벌 리딩 스포츠 브랜드 아디다스가 서울 성수동에 ‘아디다스 카페 3 STRIPES 서울(CAFÉ 3 STRIPES SEOUL)’을 오픈한다. ‘CAFÉ 3 STRIPES SEOUL’은 카페의 본질은 담은 공간이면서도, 스포츠와 패션, 라이프스타일을 아우르는 다채로운 경험을 통해 각자의 개성을 나누며 즐거움을 찾아나가는 커뮤니티 허브다. 콘크리트와 벽돌이 조화를 이루는 클래식한 외벽과 철제 구조물이 어우러진 독일의 인더스트리얼한 디자인의 외관이 눈에 띄며, 아디다스를 상징하는 삼선(3 STRIPES)을 인테리어 곳곳에 반영해 브랜

'생로병사(生老病死)'나 '성주괴공(成住壞空)'은 자주 접하는 사자성어다.
그러나 '생주이멸(生住異滅)'은 마음에 관한 것으로 쉽게 접할 수 없을 것이다.
마음을 알아차리기보다 더 어려운 것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는 마음은 우주가 생성되기 전에 이미 있었다고 주장을 하고 싶다. 마치 꽃의 아름다움이 있기 전에 이미 색(色)이 있었다는 이치와 같다.
마음은 부처님께서 <능엄경>에서 자세히 설하고 있다. 부처님의 10대 제자 가운데 한 사람인 아난에게 마음을 깨치게 하는 내용이다. 아난은 부처님의 4촌 동생이다.
그리고 청담 스님께서는 마음에 관한 공부를 평생 동안 하신 분이시다. 마음도 '생주이멸'의 과정을 거치기 마련이다. 인간은 육체적으로는 태어남(生)으로 시작하여 죽음(死)으로 마감한다.
졸업이 새로운 시작을 의미하듯 죽음도 끝은 아닌 것으로 보고 있다.
육도(六道)를 윤회(輪回) 하는 인간이기에 어디에서 다시 태어날지는 업보에 따를 것이다. 다만 천상이나 서방정토에 갈 수 있다면 이는 종교적인 문제이다.
생로병사의 노(老)와 병(病)은 태어나서 죽음에 이르는 단순한 과정(process)일 뿐이다. 시작과 끝인 시종(始終)보다는 과정을 중시하것이 인간세상이다.
늙어야만 병이 따르는 것은 아니다. 유아사망도 있고 소아 당뇨도 많은 세상이다. 생로병사의 순서대로 산다는 것은 사실 행복한 삶이다.
인간이 치르는 잔병치레는 의외로 많다. 특히 병원을 마치 공원을 산책하듯 자주 드나드는 우리 민족이다.
나이 들어 며칠만 병상에서 아프다가 저승으로 간다면 소위 오복의 하나인 '고종명(考終命)'일 것이다. 요즘은 '웰다잉'이라 부른다.
늙음을 서러워 말고 행복하게 여기는 인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백발이나 주름을 사랑하는 사고의 전환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생주이멸'은 육안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마음도 생겨서 존재하다가 멸하는 과정을 거치기 마련이다.
흔히 가장 짧은 찰나(刹那)는 75분의 1초에 불과하다. 그러나 찰나는 겁(劫)과 통하는 시간이다.
<사랑도 찰나였다>는 어느 여류 시인의 시집 제목이다. 필자는 노인의 사랑을 주장하고 있다. 이를 '생주이멸'이란 마음으로 살펴보고 있기 때문이다.
영화 <죽어도 좋아>나 최근 증가하고 있는 '노인의 재혼'은 깊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누구나 한 생을 소풍 마치고 귀천(歸天) 하는 길이라고 하지만, 인간은 지구에서의 삶 자체가 소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랑'을 화두(話頭)로 삼으면서 일생을 살아갔으면 하는 바램이다.
다행히 조화주는 불행하지만 행복하다고 생각하면 뇌는 속는다고 한다. 따라서 틈만 나면 '나는 행복하다'를 반복 하라는 것이 고(故) 이용태 박사님의 ''행복아카데미 강좌''의 백미(白眉)인 것이다.
결국 이 순간(just-now)이 가장 소중하다고 하니 지금 바로 행복을 느끼면서 지내도록 습관을 길러 나가는 일상(日常)이 되도록 애썼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
이경국(칼럼니스트. 사단법인 박약회 운영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