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애플데이, 사과로 마음을 잇다… 시민 참여형 행사 코엑스몰서 열려
10월 24일 한국사과연합회가 사과를 매개로 진심을 전하는 ‘애플데이’ 행사를 서울 스타필드 코엑스몰 라이브플라자에서 진행했다. ‘애플데이’는 매년 10월 24일 서로에게 사과하며 화해하는 날로, 올해는 사과를 통해 사랑과 감사를 나누는 참여형 행사로 운영됐다. 이번 행사는 ‘사과우체국’, ‘사과로드’, ‘사과나무 카드걸렸네’ 등 다양한 시민 참여 콘텐츠로 꾸려졌다. 방문객들은 ‘사과로드’에 사과 메시지를 붙이며 마음을 표현하고, ‘사과우체국’에서는 감성 엽서를 통해 미처 전하지 못한 사과의 말을 전했다. 엽서를 보낸 이들에게는 사
삼성전자 ‘삼성 노트북 무료점검 캠페인’ 실시
삼성전자가 23일부터 11월 22일까지 전국 117개 삼성스토어에서 삼성전자 노트북 사용 고객을 대상으로 ‘삼성 노트북 무료점검’을 실시한다. ※ PC 점검 서비스센터가 위치한 삼성스토어 117개점 이번 캠페인은 삼성전자 노트북 사용자들의 기기 점검과 지난 14일 보안 업데이트 등 ‘윈도 10(Windows 10)’ 운영체제 지원 종료에 따른 ‘윈도 11(Windows 11)’ 운영체제 업그레이드를 돕기 위해 진행된다. 기간 중 삼성스토어에 방문한 고객은 판매상담사와 PC 전문 엔지니어를 통해 사용 중인 노트북의 ‘윈도 11(Win
아디다스, 서울 성수동에 ‘CAFÉ 3 STRIPES SEOUL’ 오픈
글로벌 리딩 스포츠 브랜드 아디다스가 서울 성수동에 ‘아디다스 카페 3 STRIPES 서울(CAFÉ 3 STRIPES SEOUL)’을 오픈한다. ‘CAFÉ 3 STRIPES SEOUL’은 카페의 본질은 담은 공간이면서도, 스포츠와 패션, 라이프스타일을 아우르는 다채로운 경험을 통해 각자의 개성을 나누며 즐거움을 찾아나가는 커뮤니티 허브다. 콘크리트와 벽돌이 조화를 이루는 클래식한 외벽과 철제 구조물이 어우러진 독일의 인더스트리얼한 디자인의 외관이 눈에 띄며, 아디다스를 상징하는 삼선(3 STRIPES)을 인테리어 곳곳에 반영해 브랜
“저는 암에 걸려 행복해요. 암 때문에 가족의 사랑을 찾았으니까요!”
한광옥 전 대통령비서실장(83세. 왼쪽)과 부인 장영자 여사(83세).
폐암 수술을 받고 몇 달이 지난 아내가 요양지 산책 도중 문득 쏟아낸 말이다. 나는 그 말을 듣고 아내에게 가슴이 미어지는 미안함을 느꼈다. 내가 얼마나 많은 세월 동안 아내를 힘들고 외롭게 했으면 차라리 암에 걸려 행복하다고 말할까?라는 자책감 때문이었다.
지난 2010년 8월, 건강하게만 보였던 아내가 갑자기 쓰러졌다. 놀란 마음으로 병원에 달려갔는데 뜻밖에도 폐암이라는 진단이 나왔다.
그야말로 청천벽력과도 같은 일이었다. 아내와 나는 이 엄청난 현실 앞에서 ‘왜 우리에게 이런 엄청난 불행이 닥쳤을까?’라는 절망감에 하늘을 원망했다.
그러나 절망과 원망만 하고 있기에는 우리에게 닥친 현실이 너무 절박했다. 우선 아내에게 병마와 싸워 이겨낼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하는 일이 시급했다. 병은 약의 처방이나 의사의 치료도 중요하지만, 환자 본인이 ‘병을 이겨낼 수 있다.’라는 강한 정신력과 의지력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내 짝도 못 챙기면서 무슨 동지와 국민을 사랑한다고 말할 수 있겠느냐’라는 생각으로 ‘아내가 폐암에서 완치되었다는 확신이 있을 때까지 평생을 걸어온 정치활동을 중단하겠다.’라고 결정했다.
그런 우리 부부에게 주위의 많은 사람이 따뜻한 격려를 보내주셨고, 무엇보다도 아내의 수술을 담당하신 의료진의 세심하고 따뜻한 정성으로 수술을 무사히 마칠 수 있었다. 15년 전인 2010년 8월 18일의 일이었다.
그러나 암이란 것이 수술만으로 완치되는 병이 아니다. 나는 폐암 수술을 마친 아내를 부축하여 공기 맑은 곳을 찾아 항암치료를 위한 요양 생활을 시작했다.
그 요양 생활은 아내와 나에게 너무나도 힘든 시간이었다. 절망과 희망, 그야말로 희비(喜悲)가 엇갈리는 시간이었다.
어느 날 아내는 제주도 바닷가 편백나무 아래서 “하나님 살려 주세요. 편백나무야! 나를 살려다오.”라며 절규했다.
또한 밤마다 심한 기침으로 인한 고통을 못 이겨 “나는 이제 가망이 없는 것 같아요.”라며 힘없이 돌아눕는 아내의 모습을 바라볼 때는 형언할 수 없는 절망감을 느껴야 했다.
그러던 아내가 언제부터인지 “한 걸음이라도 더 걸어야 내가 살 수 있다.”라는 강한 의지로 4~5㎞씩을 걷는 모습을 보며 ‘아내는 꼭 이겨낼 것’이라는 기대감에 기쁜 마음을 감출 수가 없었던 때도 있었다.
아내의 병은 정치인의 내조자로서 모진 비바람을 맞고 가시밭길 같았던 인생길을 함께 걸으며 겪었던 고통이 폐암으로 나타난 것이다. 한마디로 내가 아내를 폐암의 고통 속으로 몰아넣은 것이다.
그래서 나는 늘 아내에게 미안하고, 감사한 마음으로 살아가고 있다. 아내가 폐암 수술을 받은 지 15년째이다. 아내와 나에게는 정말 힘든 시간이었다. 그러는 동안 내게는 별명 하나가 생겼다. 주위 사람들이 내가 아내를 극진하게 병간호해 주었다고 나에게 ‘수간호사’라는 웃지 못할 별명을 지어 주었다.
그렇게 아내와 함께했던 지난 15년의 세월이 나에게는 너무나 많은 것을 느끼게 해주었고, 15개의 대나무 마디처럼 소중한 시간으로 가슴에 남았다.
그리고 아내는 지난 시절 나에게 느꼈던 섭섭하고, 원망스러움을 지난 15년 동안 모두 용서한 것 같다.
수술 후 어느덧 15년이 지났지만 지금 아내의 건강 상태가 몹시 안 좋다. 요즘도 병원을 찾아 항암치료를 받고 있지만 아내의 건강은 좀처럼 회복되지 않아 마음이 안타깝다. 또한 수술 후유증으로 걷지를 못해 오래전부터 휠체어 신세를 지고 생활한다. 병마와 싸워야 했던 지난 15년의 세월이 아내에겐 너무 힘든 기간이었을 것이다. 그래도 아픈 아내지만 내 곁에 있어 주어 진심으로 감사할 뿐이다.
아내의 건강을 함께 걱정해 주셨던 많은 분과 의료진 여러분께 다시 한번 머리를 숙여 깊은 감사를 드린다. 오늘도 병상에서 병마와 싸우고 계신 모든 환자분께 따뜻한 위로와 함께 ‘희망과 용기를 잃지 마시라’는 당부를 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