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애플데이, 사과로 마음을 잇다… 시민 참여형 행사 코엑스몰서 열려
10월 24일 한국사과연합회가 사과를 매개로 진심을 전하는 ‘애플데이’ 행사를 서울 스타필드 코엑스몰 라이브플라자에서 진행했다. ‘애플데이’는 매년 10월 24일 서로에게 사과하며 화해하는 날로, 올해는 사과를 통해 사랑과 감사를 나누는 참여형 행사로 운영됐다. 이번 행사는 ‘사과우체국’, ‘사과로드’, ‘사과나무 카드걸렸네’ 등 다양한 시민 참여 콘텐츠로 꾸려졌다. 방문객들은 ‘사과로드’에 사과 메시지를 붙이며 마음을 표현하고, ‘사과우체국’에서는 감성 엽서를 통해 미처 전하지 못한 사과의 말을 전했다. 엽서를 보낸 이들에게는 사
삼성전자 ‘삼성 노트북 무료점검 캠페인’ 실시
삼성전자가 23일부터 11월 22일까지 전국 117개 삼성스토어에서 삼성전자 노트북 사용 고객을 대상으로 ‘삼성 노트북 무료점검’을 실시한다. ※ PC 점검 서비스센터가 위치한 삼성스토어 117개점 이번 캠페인은 삼성전자 노트북 사용자들의 기기 점검과 지난 14일 보안 업데이트 등 ‘윈도 10(Windows 10)’ 운영체제 지원 종료에 따른 ‘윈도 11(Windows 11)’ 운영체제 업그레이드를 돕기 위해 진행된다. 기간 중 삼성스토어에 방문한 고객은 판매상담사와 PC 전문 엔지니어를 통해 사용 중인 노트북의 ‘윈도 11(Win
아디다스, 서울 성수동에 ‘CAFÉ 3 STRIPES SEOUL’ 오픈
글로벌 리딩 스포츠 브랜드 아디다스가 서울 성수동에 ‘아디다스 카페 3 STRIPES 서울(CAFÉ 3 STRIPES SEOUL)’을 오픈한다. ‘CAFÉ 3 STRIPES SEOUL’은 카페의 본질은 담은 공간이면서도, 스포츠와 패션, 라이프스타일을 아우르는 다채로운 경험을 통해 각자의 개성을 나누며 즐거움을 찾아나가는 커뮤니티 허브다. 콘크리트와 벽돌이 조화를 이루는 클래식한 외벽과 철제 구조물이 어우러진 독일의 인더스트리얼한 디자인의 외관이 눈에 띄며, 아디다스를 상징하는 삼선(3 STRIPES)을 인테리어 곳곳에 반영해 브랜
문예출판사가 ‘병원에 의지하지 않고 건강한 아이 키우기’ 한국어판 출간 20주년을 기념해 전면 개정판을 출간했다.
`병원에 의지하지 않고 건강한 아이 키우기` 표지
‘병원에 의지하지 않고 건강한 아이 키우기’는 미국 소아과 명의 로버트 S. 멘델존이 30년의 임상 경험을 녹여 쓴 아이 건강 관리 지침서다. 과잉 진료, 독한 약물, 오진의 위험에서 벗어나 부모가 중심이 되는 육아를 원하는 초보 부모들에게 구체적인 증상별, 상황별 돌봄 가이드를 제공한다.
‘대중의 의사’로 불리는 소아과 전문의 로버트 S. 멘델존은 부모들이 소아과 의사에게 지나치게 의존해 비싼 진료와 불필요한 시술을 받는 것을 경계한다. 의사가 지나치게 개입하도록 만드는 의료 시스템의 구조적 요인을 비판하며, 부모는 의사를 신뢰하되 경계하는 균형적인 태도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한다. 부모가 자녀의 건강을 지키려면 의사의 말을 맹신하기보다 아이에게 맞는 돌봄 방법을 찾는 자신만의 기준을 세워야 한다는 것이다.
‘병원에 의지하지 않고 건강한 아이 키우기’는 의사와 부모의 판단 사이에서 균형적인 태도를 갖추길 바라는 마음을 담아 멘델존 박사가 쓴 책이다. 가정에서 흔히 발생하는 건강 문제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방법을 배우고 의학적 정보에 기반에 자녀의 건강에 관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이 책은 아이가 태아 상태일 때부터 성장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다양한 질환 및 증상을 총 21장에 나누어 정리해 안내한다. 치솟는 열, 두통, 복통, 기침 등 증상별로 아이가 보일 수 있는 반응을 설명하고 병원에 데려가야 할지, 집에서 관리하면 회복할 수 있는지, 어떤 검사와 처방이 필요하고 어떤 게 불필요한지 구분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장 끝에는 부모가 확인할 지점을 정리한 체크리스트도 함께 수록해 혼란스러운 상태에도 아이에게 어떤 도움이 필요한지 바로 알아차릴 수 있도록 한다.
아픈 아이를 데리고 내진했을 때, 부모는 의료 전문가인 의사 앞에서 위축되기 마련이다. 아이를 건강하게 해주고 싶어 신경 쓴 일이 오히려 해가 되지는 않을지 걱정하기도 한다. 멘델존 박사는 그런 부모들에게 ‘자신의 직감을 믿으라’며, 아이를 누구보다 잘 아는 사람은 의사가 아니라 양육자라고 부모를 독려한다. 위중한 상태엔 의사의 처방을 잘 따라야 하지만, 그렇다고 아이의 건강에 관한 부모의 판단이 아무 의미 없는 것은 아니다. 부모는 의사가 포착하지 못하는 아이의 사소한 증상이나 변화를 누구보다 가까이서 관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과잉 진료와 약물 복용에 따른 부작용과 위험을 인지하고, 병원에서 아이에게 어떤 치료를 하는지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일은 아이의 건강을 어떻게 관리해야 할지 큰 그림을 그리는 데 도움을 준다. 부모가 중심이 되는 아이 건강 관리를 원하는 초보 양육자들이라면 이 책을 통해 효과적인 조언을 얻고 의료 기관과 자신의 기준 사이에서 균형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