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S효성첨단소재 ‘밀리폴 파리 2025’서 K-방산 아라미드 선보여
HS효성첨단소재가 11월 18일부터 21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밀리폴 파리(Milipol Paris) 2025’ 전시회에 참가해 아라미드 섬유 브랜드 알켁스(ALKEX®)를 선보인다. ‘밀리폴 파리’는 프랑스 내무부가 주관하는 유럽 최대 국토 안보 전시회로 2년마다 개최된다. 1984년 첫 행사를 시작으로 올해로 42년째를 맞이했으며, 이번 전시회는 1100여 개의 기업이 참가하고, 160개국 3만 명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 HS효성첨단소재는 이번 전시회에서 유럽, 미주 등 글로벌 고객을 대상으로 자체 기술로 개발한 아
엔젤스윙-현대건설, 최대 규모 도로공사 드론 관제… CCTV 사각지대까지 잡았다
드론 데이터 플랫폼 전문기업 엔젤스윙이 현대건설이 시공하는 ‘남양주 왕숙 국도 47호선 이설(지하화) 도로 공사 현장’에 DJI Dock3 스테이션 기반 드론 자동화 시공 안전관리 플랫폼을 공식 도입했다. 국내 최초 4분리 입체터널 현장… 드론 촬영 데이터로 사각지대 없애 이 현장은 국내 기술형 단일 토목 현장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와 국내 최초 4분리 입체터널 현장으로, 복합 기술, 도시교통망 영향력, 엔지니어링 난도가 가장 높다. 총사업비 1조503억원, 연장 6.41km, 지하차도·터널·교량·나들목 등으로 구성되며 국내 최초 상
SK텔레콤(대표이사 CEO 유영상)은 인공지능(AI) 서비스 `에이닷`의 월간 활성이용자수(MAU)가 9월 1,000만명을 돌파했다고 21일 밝혔다. 지난해 10월 MAU 550만명을 기록한 지 1년 만에 2배 가까이 성장한 것이다.
SKT 에이닷, 월간 사용자 1,000만 넘었다
SKT는 이번 성과가 에이닷이 고객들에 편리한 AI 사용 경험을 제공하며, 고객의 일상 전반으로 자연스럽게 확산되며 본격 대중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이정표라고 설명했다.
또 SKT는 이 같은 결과가 SKT가 추진해온 `AI 생태계 확장 전략`의 결실이라며, 에이닷이 해당 전략을 토대로 `국내 대표 AI 허브`로 도약하고 있다고 밝혔다.
`AI 생태계 확장 전략`은 고객에게 일상 속에서 끊김 없는 AI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단일 앱 중심의 서비스를 넘어 에이닷을 매개로 다양한 서비스와 플랫폼을 연결하는 전략이다.
MAU 1,000만 돌파를 이끈 에이닷의 AI 생태계 확장에는 내부 서비스 고도화와 외부 플랫폼 적용을 통한 고객 접점 확대가 큰 역할을 했다.
올해 6월에는 `노트`와 `브리핑` 서비스를 베타 버전으로 출시해 일상 속 활용 폭을 넓혔으며, 실제로 서비스 출시 직후 한 달 만에 에이닷의 실사용자가 100만명 가까이 늘며 고객의 높은 관심을 입증했다.
특히 8월에는 `4.0 업데이트`를 통해 에이닷에 `에이전틱 워크플로우(Agentic Workflow)`를 적용했다. 이는 AI 에이전트가 사용자의 요청을 그대로 수행하는 것을 넘어, 사용 기록과 대화 맥락을 기반으로 요청을 재해석해 목표를 설정하고 작업을 계획·실행하는 최신 AI 기법이다.
이를 통해 에이닷은 한층 개인화된 AI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됐으며, 업데이트 이후 MAU가 추가로 100만명 가까이 증가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갔다.
또 SKT는 에이닷의 AI 에이전트 기술을 기반으로 에이닷 전화를 지속 고도화해왔다. 2023년 9월 안드로이드 버전의 `전화` 서비스에 통화 녹음·요약 기능을 추가한 데 이어, 같은 해 10월 iOS 버전에도 해당 기능을 추가했다. 2024년 10월에는 `T전화`에 에이닷을 결합한 `에이닷 전화`를 선보여 이용자들의 호응을 얻었다.
이 밖에도 `B tv`와 `티맵(TMAP)` 등 고객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플랫폼에 에이닷을 탑재해, AI 서비스에 익숙하지 않은 고객도 자연스럽게 에이닷을 접할 수 있게 했다.
SKT는 국내외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AI 생태계 확장 전략`도 강화하고 있다. 지난 9월 글로벌 일정공유 플랫폼기업 `타임트리`와 파트너십을 체결했으며, 동명의 일정공유 플랫폼 앱 `타임트리(TimeTree)`에 에이닷의 AI 에이전트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SKT는 1,000만 MAU 달성을 에이닷이 고객의 일상 속으로 한층 깊이 스며들도록 하는 전환점으로 삼고, 에이닷의 AI 생태계 확장을 가속화할 예정이다. ▲내부 서비스 고도화 ▲외부 플랫폼 적용 ▲파트너사와의 협력 확대를 통해, 에이닷을 언제 어디서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온 국민의 AI 서비스`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김용훈 SKT 에이닷사업부장은 "에이닷이 다양한 접점에서 고객에게 호평받으며 MAU 1,000만을 돌파한 것은, 에이닷이 `온 국민의 AI 서비스`로 도약하는 전환점"이라며, "앞으로도 고객의 모든 순간에 에이닷이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도록 AI 생태계 확장과 서비스 혁신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