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조성제의 무속이야기 ⑮ - 십자(十)는 창조와 신장의 의미
십자(十字)의 징표는 고대 이집트의 앙크 등 많은 종교나 제사에 있어서 ‘생명’ 또는 ‘영원’의 상징으로 쓰였다. 하지만 대한민국에서 십자가는 기독교를 대표하는 상징물이자 전유물이 되어버렸다. 십자가는 오랜 옛날부터 무교에서도 사용하였으며, 무(巫)의 갑골문자 역시 십자가로 표시한다. 하지만 십자가는 어디서 유...
-
[이경국 칼럼} 사랑은 찰나였다
향토 시인 권옥희님의 세번째 시집 를 다시 꺼내어 읽어 보다. 필자는 시를 좋아하지만 시를 써 놓고 보면 수필 같은 느낌이 든다. 많은 시인께서 시집을 내면 보내주니 정독을 하는 편이다. 마음이 어수선하여 시를 읽으면서 다독여 보고 있다. 시인은 詩를 쓰고 필자는 에세이를 쓰면서 출향인으로 이미 문학으로 정이 들어 설사 한 줄의 낙...
-
조성제의 무속 이야기 ⑭ -풍물(風物)과 매구(昧扣)
현재 농악이라 하면 꽹과리 치고 장구 치며 노는 것을 말하는데, 예전에는 풍물 · 풍장 · 사물(四物 )· 매구 · 두레 · 걸궁 · 걸립 등으로 불렀다. 이 명칭 가운데 생경한 것이 ‘매구’다. 이 매구의 어원은 어디서 비롯되었는가 정리해 본다. 한자에서 '매(昧)'란 새벽, 또는 동틀 무렵을 나타내는 뜻...
-
[이경국 칼럼] 사전선거 제도의 난맥상
선거는 사전선거와 본선거가 있다. 제대로 하지 않고 유권자를 속이는 부정선거가 늘 문제다. 혹자는 21세기 대명천지 선진국에서 어떻게 부정선거를 저지를 수 있느냐고 항변하기도 한다.어떻게 본선거에서는 이기는데 사전선거 때문에 진다는 말인가? 부정의 근거는 부지기수로 많으며, 전문가가 일일이 밝히기도 하였지만 그때마다 중앙...
-
조성제의 무속 이야기⑬ 다시 찾은 칠궁(七宮)
칠궁(七宮)에 대한 글을 처음 쓴 때가 1997년이었다. 그 당시 신문기자로 퇴직한 어느 분이 이 글을 김대중 정권 때 청와대로 보내, 느닷없이 청와대 비서실로부터 원론적인 답장을 받아 당황한 적이 있다. 노무현 정부 시절 다시 이글이 청와대로 전달되어 원론적인 답변을 받았다. 그리고 퇴임 전 2006년 10월 23일 정오에 처음으로 칠궁 제사를...
-
조성제의 무속이야기 ⑫ 신시(神市)와 축제
신시(神市)는 하늘의 뜻에 부합하는 부도(符都)에서 펼치는 제사이다. 부도는 나라의 중심지인 서울을 나타내는 말이다. 신시와 부도라는 명칭은 한웅천왕시대 배달나라를 세우면서 사용하였고, 단군조선의 아사달이 부도였다. 신시는 부도에서 하늘에 제사 지냈다는 것으로, 천제단을 세웠다는 의미에서 비롯됐다. 에 신시의 구조를 알 ...
-
[김진철 칼럼] 미 대사관의 유학생 SNS 검증, 무엇을 말해주나
대선 앞두고, 미 대사관의 경고최근 미국 대사관이 한국 유학생들의 SNS를 대상으로 전면적인 검토에 착수했다는 소식은 단순한 보안 절차로 보기 어렵다. 이는 분명히 대한민국 내 반미·친북 정서에 대한 미국의 실질적인 우려를 행동으로 표출한 것으로 보인다.특히 대선을 앞둔 민감한 시점에서 이러한 움직임은, 좌파 정치권 일부에...
-
[이경국 칼럼] 돈의 쓰임새
여기서 쓰고 싶은 것은 화폐의 저장이나 교환 수단을 말하고자 하는 것이 이니다. 돈에 대한 집착이 강하거나 자라날 때 너무나 가정 사정이 곤궁하면 돈이 있어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을 말하고 싶다.해마다 쓰레기에서 뭉칫돈이 나오고 있다. 은행을 이용할 줄 몰라서 어렵게 번 돈은 비닐봉지나 장판 밑 아니면 장독 속에 갈무리 하...
-
조성제의 무속이야기⑪ -무당 방울의 의미는?
무교에 사용되는 신기물(神器物) 가운데 무당들에게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 방울이다. 방울은 곧 무당의 상징물이다. 방울을 사용하는 목적은 소리를 내는 데 있다. 보통 방울이라고 하면 조그마한 쇠가 방울 안에 달려서 소리를 낸다. 그러나 무당들이 사용하는 방울은 방울이 서로 부딪치면서 소리를 내 일반 방울과 다르다. 방울을 한...
-
[반창꼬뉴스 논평] 주한미군은 양국의 국익과 국제 평화에 기여한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 22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미국이 주한미군 병력 4,500명을 타 지역으로 재배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만일 이 계획이 현실화된다면 이는 한반도와 동북아 전체의 안보 지형에 중대한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주한미군은 단순히 한반도의 방위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는 동북아시아와 인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