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립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서울시동남보조기기센터(센터장 강용원, 운영법인 푸르메재단)는 월드비전과 함께하는 저소득 희귀질환아동 맞춤형 보조기기 지원사업을 시작한다고 11일 밝혔다.
희귀질환아동 맞춤형 보조기기 지원사업은 경제적 여건이 좋지 않거나, 기기에 대한 정보 부족 등으로 보조기기 접근 및 구매하기 어려운 저소득층 희귀질환아동에게 개인별 맞춤형 보조기기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2017년도부터 월드비전과 함께 서울시동남보조기기에서 수행하고 있으며 전국(서울, 경기, 인천, 대전, 경남, 전북, 부산, 대구, 광주, 충북, 제주도)에서 신청이 가능하다.
희귀질환아동·청소년의 사회참여 기회 확대를 위해 생애주기별 맞춤형 보조기기가 필요하지만, 공적재원으로 지원받기가 어렵거나 특정한 기성 제품이 아닌 개인별 맞춤 보조기기 지원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모집 대상은 만 23세 이하 희귀질환진단을 받은 아동, 청소년으로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 중위소득 80%미만(2019년기준)에 해당이 되면 신청이 가능하다.
모집 기간은 1차가 3월 11일(월)부터 4월 11일(목)까지이고, 2차는 6월 24일(월)부터 7월 25일(목)에 신청접수를 할 수 있으며, 서류심사 후 개인별 현장평가를 거쳐 최종 지원 대상자를 결정하여 기기를 지원한다.
강용원 서울시동남보조기기센터장은 “희귀난치질환 아동·청소년들은 치료를 최우선으로 생활하고 있으며, 이동, 정보 접근, 사회활동 등 다양한 욕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포기하거나 수동적으로 생활하고 있다. 가족(보호자)들도 치료와 일상생활 등에서 부담이 점점 커지게 되는데, 맞춤형 보조기기 지원으로 보호자의 부담을 조금이나마 줄여드리고 싶다. 희귀질환 아동·청소년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보통의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그 환경을 만들어 가는 의지가 생기길 바란다”고 밝혔다.
신청 및 자세한 내용은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서울시동남보조기기센터 내방 및 전화로 하면 된다.
한편 서울시동남보조기기센터는 2008년 서울특별시에서 영원한도움의성모회에 위탁하여 시립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에 설립한 서울시 첫 번째 보조기기센터로서 현재 푸르메재단 위탁으로 운영하고 있다.
*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 등록: ‘서울시동남보조기기센터’ 검색
시립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개요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은 1982년 서울특별시에서 설립한 국내 첫 장애인종합복지관으로서 푸르메재단이 운영하는 지역사회 장애인재활기관이다.
- 블로그: http://blog.naver.com/seoulats
- 카카오플러스친구: http://pf.kakao.com/_WExlPC
오피니언 더보기
-
[이경국 칼럼] 소금에 대한 바른 이해
'소금'에 대하여 병원의 의사에게 이의를 제기하고 싶을 때가 많다.바다는 3%의 염분으로 넓은 바다를 청정하게 유지한다. 인체는 0.9%만의 염분으로 건강체를 유지한다는 것은 상식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천일염(天日鹽)을 먹고부터 건강과 평균수명이 크게 늘어나게 되었다.1912년 평균수명이 28세였다. 그런데 소금 섭취량이 늘어난 194...
조성제의 무속이야기 (26)떡에 꽂는 ‘서리화’의 의미
황해도 만신들이 굿을 할 때는 반드시 떡시루에 서리화를 꽂는다. 서리화라는 명칭은 나뭇가지에 서리가 내린 것처럼 생겼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그러면 서리화는 단순히 굿상을 아름답게 하고 신령님들의 통로인 꽃과 같은 기능만 가진 것일까 의문이 가지 않을 수 없다. 을 보면 ‘흰털이 난 소를 모우(旄牛)’라고하며 &l...
[이동식 역사칼럼] (3)입을 막을 수 없었다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헌법에 명시된 이 개념은 백성이 주인공인 민주주의 체제에다 모든 사람들이 고루 화목하게 살아야 한다는 공화정의 개념이 합쳐진 것인데, 우리가 민주주의를 주로 미국으로부터 배워왔고 최초의 공화정은 로마에서 비롯되었다고 들었지만 공화정의 역사는 동양에서 시작되었다. 고대 중국의 역사에서 정...
-
[사설] 국회는 또 국민을 속였다
정기국회가 열렸다. 그러나 국민이 본 것은 민생 해법이 아니라 '한복'과 '상복'이었다. 기쁨과 축복의 옷, 죽음과 애도의 옷이 정치 쇼의 소품으로 전락했다. 국회는 또다시 국민을 속였다.정치는 이미 편 가르기와 이간질로 국민 마음을 아프게 했다. 그런데 이제는 상징마저 왜곡해 분열을 키운다. 국민은 웃지도, 애도하지도 ...
조성제의 무속 이야기 ㉕ 서울 굿의 유파
'서울 굿'은 동서남북으로 굿을 하는 무가와 장단 그리고 춤사위를 비롯한 상차림과 전안을 모시는 방법 등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보이는데 보통 각심절본·노들본·구파발본 등으로 나눈다. 이렇게 한양 성내를 중심으로 동쪽과 남쪽 서쪽으로 구분하게 된 내력은 오만수라는 무조(巫祖)에 의해서다. 오만수의 딸 넷 모두 아...
[이경국 칼럼] 인류의 종말에 대하여
어차피 사자성어로 생로병사(生老病死) , 생주이멸(生住異滅) , 성주괴공(成住壞空) 등은 시작이 있으면 끝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계절의 춘하추동도 같습니다. 시원(始原)을 생각해 보면 재미가 쏠쏠합니다. 비가 온다는 것을 생각을 해 봅니다. 온다는 것은 가야만 올 수가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오간다'라는 것은 '미닫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