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이 지난 7일 국가정보시스템 복구 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가동이 중단된 정부 행정정보시스템이 기존 647개에서 709개로 늘어났다. 이 중 1등급 핵심 시스템은 40개로 파악됐다.
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국정자원 통합운영관리시스템(nTOPS) 복구를 통해 전체 시스템 목록이 709개로 늘어났으며, 등급별로는 1등급 40개, 2등급 68개, 3등급 261개, 4등급 340개로 집계됐다.
정부 시스템은 업무 영향도, 사용자 수, 파급도 등을 고려해 등급이 매겨진다.
오피니언 더보기
-
[김주호 칼럼] 훈민정음 창제와 신미대사
현재 훈민정음은 국보 제70호이고, 199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어 있는 보배로운 글자이다. 따라서 훈민정음에 대한 각론 연구도 필요한 때다. 훈민정음의 창제원리를 천문도 내지 천부경과 관련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말이다. 그런데 현재의 중성 순서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가 훈민정음의 중성 순서 •ㅡㅣㅗㅏㅜㅓㅛㅑㅠ...
[이동식 역사 칼럼] (6)먹줄이 발라야 정치도
먹줄이 발라야 정치도 바르게 된다옛날 사람들의 정치학 교과서에는 '목종승정(木從繩正)'이란 말이 있다. 원래의 뜻은 “나무(木)는 승(繩)에 따라가면 바르게 된다”는 것인데 승(繩)은 나무를 곧게 자르기 위해 먹으로 곧게 치는 줄, 곧 먹즐이니까 “굽은 나무라 할지라도 먹줄을 친 대로 켜면 바른 재목을 얻을 수 있다&rdqu...
[김주호 칼럼] 한글은 단군조선 때부터 있었다
일본 오사카 미에겐(三重縣)의 국조신을 모신 이세신궁(伊勢神宮)에는 신궁문고고자(神宮文庫古字), 신경(神鏡), 신사의 위독(位匵 : 나무로 깎아 만든 신주) 등에 훈민정음과 글자꼴이 유사한 신대문자(神代文字)인 아히루(阿比留)문자가 새겨져 있다. 다다이(田多井四郞治)씨는 그의 저서 《일본신대문자론(日本神代文字論)》에서 “...
-
[이경국 칼럼] 가을비 우산속
계절이 더위를 먹었는지 가을에 장맛비가 내리더니 수시로 많은 비가 내리고 있다. 이러다간 만추(晩秋)에도 비가 내릴 것만 같다.가랑비인지 이슬비인지 헷갈리기도 한다. 모처럼 집에 오신 시어머니가 얼른 가라는 '가랑비' 인지 아니면 친정어머니께서 더 있으라고 내리는 '이슬비'인지 당최 종잡을 수가 없다.자연도 인간의 ...
[김주호 칼럼] 추석과 파소성모(婆蘇聖母)
설과 단오와 함께 추석(한가위)은 우리 민족의 3대 명절로 꼽힌다. 신라의 가배(嘉俳)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가윗날’이라고도 한다. 추석은 신라 개국 초부터 궁중의 왕족들과 백성들이 함께 어울려 펼친 축제일이었다. 한가위에 우리 손으로 우리 땅에 농사를 지은 햅쌀로 송편을 빚고 햇과일 등으로 하늘과 조상께 감사드리는 차...
조성제의 무속 이야기 (30)성황당과 서낭당
우리는 성황당과 서낭당이 같은 기능을 가진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성황당과 서낭당은 그 탄생 배경과 기능이 완전히 다르다.1904년 외국인 밀러 부르다레(mile Bourdaret)가 본 성황당에 대한 기록이다. Song-hang-Sine이라는 것은 성(城), 촌락(村落), 지방(地方) 또는 도시의 신이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이는 행여(行旅)를 안전하게 하고 도중에 ...
많이 본 뉴스
- 소방청, 강릉시 가뭄 극복 위해 대용량포방사시스템 긴급 투입
- [이경국 칼럼] 꽃처럼 피어난 청계천
- [이경국 칼럼] 허수아비의 변신
- 삼성전자, 갤럭시 탭 S11 출시 맞춰 ‘AI 멘토링 클래스’ 운영
- [사설] 순국선열유족회 공법단체 배제한 보훈정책, 즉각 시정하라
- [이동식 역사칼럼] (4)네 가지 잘못
- 조성제의 무속이야기 (27) 무당과 의사
- HMM, 발레사와 4300억원 장기 운송계약 체결
- 엔씨소프트 ‘아이온2’ 11월 19일 한국·대만 출시… 사전 예약 시작
- 전쟁 중인 국가에도 운송 가능… 에이셉익스프레스, 글로벌 물류 시장 진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