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호성 대표가 강연을 하고 있다.그들은 21세기 문화 산업이 흘러가는 양상과 프로듀서가 가져야 하는 글로벌 인간관계에 대해 강연했다. 강연 후 열띤 질의와 응답으로 분위기가 한층 고조되었다. 특히 리더가 가져야 할 마음가짐을 이야기하며, 24개국 대학생들에게 겸비하고, 경청하며 사고하는 마인드에 대해 깊이 생각할 수 있는 기회였다.
건양사이버대학교 이남교 전 부총장 “손해와 이익이 아닌 감동과 만남이 21세기 사람의 마음을 바꾸는 중요한 키워드이다”라고 말하며, “눈짓으로 반응하고 귀기울여들으면 사람의 마음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질문과 경청이 토론과 소통의 비결이므로 여러분은 이 점을 크게 새겨야 한다”라고 리더의 자세에 대해 강조했다.
2008년 18살에 척수염으로 전신 마비를 겪은 최수현, 2011년 위암 말기부터 시작하여 2012년 47개 이상의 암이 발견되어 전신 암 판정을 받았지만 2014년 모든 암이 극복됐다. “의사는 끊임없이 죽는다, 왜 안 죽었느냐는 표현을 썼지만 그 말이 내 생명을 멈추게 할 수 없었다.”며 “앞으로 내가 살아가는 이유는 많은 이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발견하고 행복을 전하고 싶다.”라고 말했다.
“암에 걸린 최수현 씨가 힘들어서 하나님께 죽여 달라고 기도했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는 눈물이 났다. 그런데 온 몸에 마비가 오고 암이 걸려도 행복하게 된 과정과 병이 완치된 사연을 들으면서 지금 내가 불평하고 있는 환경을 다시금 생각할 수 있었다. TGLC 캠프 동안 저 역시 한층 성장된 마인드로 꿈을 향해 달려가고 싶다.”(소피아, 헤젠러시아사범대학교, 심리학 3)
TGLC 모토인 ‘협력’의 메인 강연자 리얼라이즈픽쳐스 김호성 제작자는 그의 동료들(이원번 Won Lee, 이승호 Chris Lee)과 자리를 함께했다.
“영화를 만드는 과정은 굉장한 인내심이 필요하다. 영화 한 편을 만들어서 상영되기까지 7년의 시간이 걸리기도 했다. 하지만 영화를 향한 열정이 있다면, 이 일을 사랑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우리 안에 잠재된 창의력으로 새로운 것을 만들어낸다는 것은 정말 매력적인 일이기 때문이다.”
24개국 대학생들은 ‘투머로우’과 ‘리더스’ 두 팀으로 나뉘며, 투머로우 팀의 팀별 PT 발표에서 나라별 청소년 문제의 원인과 그 대안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총 24개팀, 24개국의 문제를 다루었다. 아프리카 탄자니아와 에티오피아 국가에 대해 발표했던 두 팀이 1, 2등을 수상했다.
대학생들은 앞으로 7월 6일부터 11일까지 부산 해운대에서의 월드캠프 개막식 참관 및 BEXCO에서의 리더스 컨퍼런스를 고민하고 모색하는 글로벌 화합의 장이 된다.
투머로우 소개
(주)투머로우는 내일을 이끌어갈 젊은이들에게 밝고 건전한 마인드를 함양시키고자 2007년 창립하여 월간 Tomorrow를 발행하고 있으며 해마다 Tomorrow Global Leaders 캠프라는 국제적인 행사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오피니언 더보기
-
조성제의 무속이야기 (32)굿의 성패를 좌우하는 '조상거리'
굿은 12거리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 통설이다. 대부분 굿거리는 천지신명을 모셔 의뢰자의 소원을 기원하는 의미가 있다. 즉 무당들이 모시는 신들을 즐겁게 함으로써 바라는 바를 이루도록 기원하는 것이다. 굿에서 의뢰자는 굿이 어떻게 진행되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고 우두커니 서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다 보니 굿에 동화될 ...
[이경국 칼럼] 기생의 영정(影幀)사진
기생(妓生)에 대한 바른 이해가 부족하다. 특히 관기(官妓)에 대하여 오해의 소지가 많다고 본다. 기생도 정조(貞操)를 유지하고 절개를 지킨다. 몸을 함부로 쓰는 창녀(娼女)와 같다는 생각을 하고 있기 십상인데 이는 어불성설이다.기녀는 기적(妓籍)이 있다. 노비문서가 있듯이 말이다. 기예(妓藝)에 탁월한 기생으로 이름을 날린 명기도 ...
[이경국 칼럼] 장맛비 같은 가을비
가을인데도 마치 장맛비처럼 내린다. 이름하여 가을장마다. 올해 여름은 숨이 막히는 열대야로 속을 썩이 더니 가을인데 날씨의 변덕이 극성스럽기 짝이 없다.전력 소모량이 치솟아 아슬아슬한 지경에 이르기도 했다. 세상이 변하여 부채를 들기보다는 자동으로 바람이 이는 '손 선풍기'를 들고 다니는 사람들이 보인다.자연바람이 피...
-
조성제의 무속이야기 (31)신당이 가지는 의미
무교인(무당)이 내림굿을 한 후 제일 먼저 하는 일이 바로 신당(神堂.신령을 모셔 놓은 집)을 모시는 일이다.그러면 신당은 왜 모시는 것일까? 점을 보고 돈을 벌기 위한 영업장을 여는 것일까? 사람들이 그 앞에 와서 절을 하라고 모시는 것일까? 아니면 무당이 되었으니, 기본을 갖추기 위하여 그냥 모시는 것일까? 이 말도 틀린다고 할 수...
[이동식 역사 칼럼] (7)때늦은 후회
5천 년 중국사를 통틀어 가장 뛰어난 제왕으로 평가되는 당 태종의 뒤에는 잘못을 진언하는 명재상 위징이 있었기에 찬연한 문화를 꽃피운 황금기가 열렸다. 위징은 태종에게 준엄했으며 정면으로 비판했으나 태종은 귀를 열고 200차례가 넘도록 위징의 간언을 수용하여 잘못을 바로잡았다. 정치의 교과서《정관정요》는 태종과 위징의 대...
[이경국 칼럼] 지옥(地獄)은 어디 있든 두렵기 마련이다.
인구(人口)에 많이 회자(膾炙) 되고 있는 말이 '지옥'일 것이다. 단어의 풀이로는 단순히 땅속에 있는 옥(獄)을 의미한다.감옥이 지상에 있어도 갑갑하여 죽을 지경인데 땅속 깊은 곳에 있다니 우선 무섭고 답답할 것이다. 감옥은 자유가 박탈 당하기 때문에 죽을 맛인 곳이다.따라서 '자유와 민주'는 민주국가의 양대 맥으로 여기...
많이 본 뉴스
- [이경국 칼럼] 안산(鞍山)의 황톳길을 걷다
- 광복 80주년 한글 특별전 ‘말모이’, 베를린서 개막
- 대구 금호강, 수상레저 명소로 거듭난다!
- [김주호 칼럼] 훈민정음 창제와 신미대사
- [이경국 칼럼] 지옥(地獄)은 어디 있든 두렵기 마련이다.
- 정부 “정보보호 예산 7.7% 증액…AI 기반 보안체계 강화”
- [이윤정 詩] 좋은 시(詩)
- 김민석 총리, “건설근로자 일자리·안전 위해 정부가 최선 다할 것”
- 소방차 진로 방해, 이제는 과태료·벌점까지… 긴급차량 통행 제도 전면 개선
- 4년 새 두 배로 늘어난 정신병원 입원 아동…“약물 의존 구조, 전면 재점검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