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인류학과 달리기라는 스포츠 과학이 흥미롭게 교차한 책이 나왔다.
더군다나 소설체로 저자가 몸소 겪어간 이야기를 풀어내었다. 과연 서점에 스포츠 전문도서에 둬야할까 아니면 인문학 코너가 나을까. 그러나 비소설 분야에 둬도 적절하다.
우리에겐 목덜미 인대가 없다. 그것은 네 발로 엎드려 뛰는 동물이 머리를 위로 고정시키기 위해서 필요했다. 그게 없어도 직립한 우린 재빠르게 뛸 수 있다. 남자든 여자든 아주 제대로 뛰기위해 엉덩이가 크게 발달해갔다. 서서 달리려면 그만큼 위에서 넉넉히 잡아주는게 필요해졌다.
인간은 어떻게 자신의 발에 아킬레스건을 장착하게 되었는가. 아킬레스건(Achilles tendon, calcaneal tendon)은 발뒤꿈치에 있는 힘줄이다. ‘치명적인 약점’은 정반대로 걸을 때는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는다. 힘겹게 걸을 뿐인 현대인에겐 말그대로 ‘치명적인 약점’이 되간다.
침팬지도 아킬레스건은 없다. 오스트랄로 피테쿠스도 아킬레스건은 없었다. 아킬레스건의 흔적은 2백만 년 후 호모 에렉투스에서부터 나타났다. 인류는 어기적거리는 걷기에서 사슴을 쫒는 달리기로 자신의 성장시켜왔다는 이야기 아닌가. 이것은 인간에 관한 매우 놀라운 발견이다.
3백만년 전 직립보행(直立步行)을 갓 시작한 오스트랄로 피테쿠스(오스트랄로 앞 글자 어원은 오토그레이드orthograde로 직립이라는 뜻)는 이후로도 무려 2백만년이나 걸려(세상에나 !) 직립주행(直立走行)을 해야만 살아나갈 수 있는 인간으로 진화했다. 너무나도 길고 험한 여정(旅情)이었으리라.
네 발을 써가며 나무를 타던 원숭이와는 전혀 다른 종은 자신이 남겨놓은 두 발로도 더 빨리 더 멀리 자신을 이동시켜야했다. 하루 종일 쫒고 한편으로는 쫒기다 보니 뛸 수밖에. 살기 위해 뛴다. 어쩌다보니 상황이 뒤바뀌어 뛰기 위해 살게 된다. 자주 그런 일이 있지 않은가. 먹기 위해 사는 것처럼 말이다.
두 발이 네 발로 달리는 짐승만큼 능력이 뒤쳐지지 않아야 사냥에 성공한다. 비결은 오래 달리기. 지구 상 가장 빠른 이족주행 동물 타조와 맞서는 방법이 인간에게 있다. 바로 지구력이다. 지구력(持久力)은 가지고(持) 오래(久) 있는 힘(力)인데 인간은 이렇게 오래 달리기에 쏟는 지구력으로 동물의 세계에서도 두 발로 당당히 살아갈 수 있었다.
걸음마를 다 배우기 전부터 아이들은 무조건 내달리며 어디서든 뛰어 다닌다. 그러지 말라는 경고를 얼마나 무시하는지. 그러나 위대한 직립주행을 이룩한 후손들은 요즘엔 어째 어른이 되고 나서는 달리지 않는다. 달리기를 생활에서 끊어 버린 건가. 하루에 아니 일주일에 제대로 뛰어본 적이 단 한번이라도 있었던가. 뛰지 않는 인간은 마치 날지 못하는 닭 신세와 같다. 왜 진화를 거스르는가.
인간에게 심장과 폐에 활력을 불어넣거나 집중해 강화훈련을 하는 일은 너무나 필요하고 중요하다. 심장과 폐. 이 환상적인 엔진을 닦고 조이고 기름치지 않고 상태 그대로 오래도록 그냥 사용하고 있다니. 숨쉬기는 그냥 숨쉬기이지 숨쉬기 운동이 아니다.
잡지 ‘맨즈 헬스’와 ‘에스콰이어’의 칼럼니스트로 세미 익스트림 스포츠를 직접 경험해 독자들에게 전달하는 저자 크리스토퍼 맥두걸은 달리기에는 유독 약했다. 몇 킬로미터 달리지 않아 발바닥, 아킬레스건, 햄스트링 등이 문제를 일으키는 자신의 근본적인 원인과 해결책을 찾아 파고들었다.
달리는 인간 타라우마라 족을 본 것이다. 타라우마라 족의 진짜 이름은 라라무리. 달리는 사람들이다. 지구상에서 가장 건강하고 평온하며 달릴 때의 좋은 느낌을 간직한 채 살아간다. 그러나 인류역사 상 그 전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가장 강인한 종족이다. 그들은 항상 하루종일(!) 달렸기 때문이다. 당뇨병이나 우울증에 걸리지 않으며 심지어 늙지도 않는다. 오십 대도 십 대보다 빨리 뛸 수 있다. 여든 살 노인이 산중턱에서 마라톤 거리를 달릴 수 있다.
저자는 결국 달리기는 휴머니즘이라고 선언한다. 인류를 위대하게 만들고 스스로 홀로 서게했다고. 진화생물학, 진화인류학, 생리학, 스포츠 의학 분야의 수많은 연구자들과 과학자들이 그 연구 결과를 가지고 등장한다. 이러한 과학적 증거들을 엮어가며 ‘달리기 위해 태어났고’ 또한 ‘잘 달리도록 진화해온’ 인간이라는 이론을 풀어냈다.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것은 모두 달리는 능력 덕분이라는 데에 이르면 어안이 벙벙해진다. 결국 달리기에서 휴머니즘을 발견했다.
달리기는 인간의 심장과 폐를 비로소 ‘제대로’ 써서 온몸에 피와 숨을 아주 확실하게 흐르게 하는 행위다. 작은 뼈마디와 관절, 힘줄 하나하나가 ‘제대로’ 긴장하고 ‘제대로’ 이완되는 매우 근본적인 행위다. 정신을 일깨우고 뇌를 맑게하는데 달리기만한 게 없는 게 아니라 오직 달리기를 통해서만 ‘제대로’ 할 수 있다. 왜 사는지, 삶의 희망이 없을 때 달려보면 금새 알게된다. 누가 우리는 자동차나 말이 아니라고 말하는가.
우리들은 모두 타고난 러너, 환상적인 주행자(走行者)다. 그 어떤 오래된 몸도 이미 오래 달릴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뭐하러 힘들고 숨차게 뛰냐고? 비명을 지를만큼 최고로 즐거운 놀이기 때문이라고. 지금으로부터 3백만년 전의 직립보행이라는 대혁명에서 그 후로 겨우 2백만년만에 달성한 직립주행이라는 초특급 대혁명의 비명 말이다.
도서출판 다빈치의 자매사인 여름언덕에서 나왔다. 민영진 역.
끝으로 유지성(오지레이서, KTRA 회장)씨가 ‘본 투 런’을 읽고 쓴 글을 아래 소개한다.
“달리기는 휴머니즘이다. 선사 이래 생존과 사냥의 도구였던 달리기는 이제 함께 즐기며 인간다움을 느끼는 행복한 놀이가 되었다. 경쟁과 속도 대신 내 몸을 살피고 주변을 챙기며 함께 달리는 아름다움을 느낀다면 순수하고 벅찬 기쁨이 떠나지 않을 것이다.‘본 투 런’은 인간은 누구나 즐겁고 건강하게 오래 달릴 수 있다는 새삼스런 사실을 통해 인생의 근본 의미와 가치를 되새겨준다.”
도서출판 다빈치 / 여름언덕
Thank you
Sungsik Park / Chief Director
Da Vinci Publishing, Inc.
121-914
#2508 DMC Iaan Officetel 1 Danji,
Sangam-dong, Mapo-gu, Seoul, Korea
121-914
서울시 마포구 상암동 1654 이안 오피스텔 1단지 2508호
Tel 822-2266-2501
Fax 822-2266-2504
오피니언 더보기
-
카사노바에 대한 일견(一見)
'카사노바'라는 이름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색(色)을 좋아하는 자로 인식이 되어 있다.필자는 호기심이 발동하여 일찍이 책을 접하면서 카사노바에 대한 상식의 폭을 넓힌 바 있다.색의 화신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그는 천재였다. 18세의 어린 나이에 법학박사가 되었다. 무려 5개 국어를 능수능란하게 구사한 그야말로 천재임에...
조성제의 무속 이야기 (33)공수(貢壽)와 공수(空授)
굿을 할 때는 반드시 공수(貢壽)를 준다. 언제부터 공수를 주게 됐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굿을 하는 목적이 바로 신의 말씀이라는 공수를 받기 위한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굿을 직접 의뢰하였거나 혹은 굿판에 참여한 사람들이 무당들이 내뱉는 말 한마디, 즉 공수에 일희일비하면서 좋은 공수가 내리는 마음에서 긴장한다. ...
[이동식 역사칼럼] (8)국민은 물이랍니다
옛날 임금이 정치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놓고 가장 많이 인용되는 구절이 "임금은 배, 백성은 물"이라는 표현이다.《순자(荀子)》에 나오는 말이다. "군주는 배요, 백성은 물이다. 물은 배를 띄울 수도 있고, 전복시킬 수도 있다 (君者舟也 庶人者水也, 水則載舟 水則覆舟)"...《荀子 王制》 이 말을 역대 제왕들은 신하들로부터 자주 듣는...
-
조성제의 무속이야기 (32)굿의 성패를 좌우하는 '조상거리'
굿은 12거리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 통설이다. 대부분 굿거리는 천지신명을 모셔 의뢰자의 소원을 기원하는 의미가 있다. 즉 무당들이 모시는 신들을 즐겁게 함으로써 바라는 바를 이루도록 기원하는 것이다. 굿에서 의뢰자는 굿이 어떻게 진행되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고 우두커니 서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다 보니 굿에 동화될 ...
[이경국 칼럼] 기생의 영정(影幀)사진
기생(妓生)에 대한 바른 이해가 부족하다. 특히 관기(官妓)에 대하여 오해의 소지가 많다고 본다. 기생도 정조(貞操)를 유지하고 절개를 지킨다. 몸을 함부로 쓰는 창녀(娼女)와 같다는 생각을 하고 있기 십상인데 이는 어불성설이다.기녀는 기적(妓籍)이 있다. 노비문서가 있듯이 말이다. 기예(妓藝)에 탁월한 기생으로 이름을 날린 명기도 ...
[이경국 칼럼] 장맛비 같은 가을비
가을인데도 마치 장맛비처럼 내린다. 이름하여 가을장마다. 올해 여름은 숨이 막히는 열대야로 속을 썩이 더니 가을인데 날씨의 변덕이 극성스럽기 짝이 없다.전력 소모량이 치솟아 아슬아슬한 지경에 이르기도 했다. 세상이 변하여 부채를 들기보다는 자동으로 바람이 이는 '손 선풍기'를 들고 다니는 사람들이 보인다.자연바람이 피...
많이 본 뉴스
- [이경국 칼럼] 안산(鞍山)의 황톳길을 걷다
- 광복 80주년 한글 특별전 ‘말모이’, 베를린서 개막
- [김주호 칼럼] 훈민정음 창제와 신미대사
- 대구 금호강, 수상레저 명소로 거듭난다!
- [이경국 칼럼] 지옥(地獄)은 어디 있든 두렵기 마련이다.
- [이윤정 詩] 좋은 시(詩)
- 정부 “정보보호 예산 7.7% 증액…AI 기반 보안체계 강화”
- 소방차 진로 방해, 이제는 과태료·벌점까지… 긴급차량 통행 제도 전면 개선
- 김민석 총리, “건설근로자 일자리·안전 위해 정부가 최선 다할 것”
- 4년 새 두 배로 늘어난 정신병원 입원 아동…“약물 의존 구조, 전면 재점검 필요”





